유리는 깨진다. 조심히 다뤄도, 정성을 들여도, 때로는 아무 이유 없이 금이 간다. 처음 이 학과에 들어왔을 때 그게 너무 무서웠다. 쌓아 올린 시간들이 바닥에 부딪히며 산산조각 나는 소리를 들으면, 그날 하루는 그냥 접는 게 낫다 싶을 만큼 마음도 같이 부서졌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다. 유리가 깨지는 순간에만 보이는 그 단면들. 결 하나하나. 얇은 층들. 그 안에 숨어 있던 온도와 압력의 흔적들. 그건 실패가 아니라, 재료가 남긴 기록 같았다.
남서울대 환경조형학과에서는 유리와 세라믹이라는 재료를 다룬다. 차갑고 단단해 보이지만, 실은 아주 예민하고 섬세한 재료들이다. 손끝으로 온도를 읽고, 시선으로 곡률을 재야 한다. 수업이 단순히 ‘만드는 법’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들여다보는 법’을 알려주는 이유다.
한 번은 과제로 조명 오브제를 만들다가 열 처리에서 실패했다. 내부 응력이 풀리지 않은 채로 완성된 조형이, 전시 바로 전날 깨졌다. 그걸 들고 멍하니 앉아있는데, 교수님이 지나가시며 한 마디 하셨다. “다시 만들면 되지.” 그때는 그냥 위로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결국 다시 만들었고, 이상하게도 두 번째 작품이 더 좋았다. 어쩌면 깨진 게 다행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이 학과에서는 공간도 함께 공부한다. 단순히 오브제를 만드는 걸 넘어, 그것이 놓이는 ‘자리’를 고민하게 된다. 빛은 어디서 오는지, 그림자는 어떻게 흘러가는지, 관람자의 동선은 어떠해야 하는지. 그 고민은 곧 ‘내 작업이 어떻게 세상과 닿을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이다.
관련해서 학과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공간디자인 융합 수업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또, 졸업 전시회 기사를 보면 우리가 어떤 고민을 해왔는지 더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나는 4학년, 졸업을 앞두고 있다. 유리는 여전히 자주 깨지고, 나는 여전히 가끔 무너진다. 그런데 그때마다 알게 된다. 깨진다고 끝이 아니란 걸. 되려 그 틈으로 빛이 들어온다는 걸. 손에 익은 도구보다, 마음에 남은 실수가 더 오래 간직된다는 걸.
환경조형학과는, 그런 걸 가르쳐주는 곳이다. 재료를 이해하는 마음, 공간을 느끼는 감각, 그리고 무너진 걸 다시 쌓아올리는 법. 기술이 아닌 태도. 그래서 이곳의 시간들은 오래 남는다. 유리처럼, 빛을 안고서.